[도서] 구글 애널리틱스 > analy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analytics

[도서]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105회 작성일 15-12-17 11:15

본문

01.jpg


도서명: 구글 애널리틱스

저자 : 브라이언 클리프튼


1. 웹트래픽 정보의 중요성 

  • 고객의 패턴을 분석하여 주로 유입되는 리퍼러나 키워드를 확인해서 핵심 고객에게 홍보하거나 구매 프로세스 중단 지점을 개선해야 한다 
  • 측정할 수 없다면 개선할 수 없다  by. 로드 켈빈 
  • 웹로그 분석 없이 웹사이트를 운영한다면 마치 눈을 감고 비행하는 것과 같다. 
  • 분석가는 조직에 꼭 맞는 KPI를 수립해야 한다. 
  • 변화를 위한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웹로그 분석이 기본이다. 그렇지 않다면 트래픽 확인만 가능할 뿐 개선을 절대 이뤄지지 않는다. 
  • 웹로그 분석을 구현해 초기 분석, 가설 수립, 테스트, 결과를 해석하여 전후 비교 데이터를 제시하기까지 보통 6개월이 시간이 소요된다. 유사한 성과를 얻으려면 적어도 6개월 동안의 비용은 초기 투자로 봐야 한다. 물론 로그 분석, UX 개선, 마케팅 활동을 포함한 작업의 복학적인 효과는 오래 지속될 것이므로 실제로는 더욱 가치가 있다. 


2. 주요 단어  

  • GATC : GA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리포트하기 위해 웹페이지의 각 페이지마다 삽입해야 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일반적으로 </head> 태크 이전에 삽입을 하며, 페이지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bottom 영역에 삽입해도 문제는 없다. 단, 페이지 로딩 시 순서대로 소스가 호출되므로 가급적 <head> 영역에 삽입을 해주는 것이 좋다. 
  • Referrer : 방문자가 사이트를 접속하기 이전에 방문한 사이트의 URL. '뒤로' 버튼을 눌렀을 때 나오는 페이지가 referrer 페이지다. 
  • Medium : 방문자가 해당 사이트의 링크를 수신하는 방법. 검색엔진의 경우 오가닉(무료), 클릭당 비용(CPC)가 있고, 웹사이트의 경우 직접 방문, 리퍼러 방문이 있다. 
  • Goal conversion : 일반적으로 전환으로 줄여 부른다. pv보다 가치가 있는 액션을 의미한다.  
  • Landing page : 사이트 방문자가 해당 사이트에 방문 시 도착한 첫 페이지를 말한다. 
  • Site search : 웹사이트 내부의 사이트 검색은 대부분 콘텐츠가 방대한 사이트에서 UX를 향상시키고자 사용된다. 
  • Session : 방문 또는 방문 세션이라고 하며 방문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활동한 기간을 의미한다. 방문자가 아무런 액션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세션은 종료된다. 또한 금일 기준 저녁 12시가 지나도 세션은 종료되며, 쿠키를 강제 삭제하여도 종료된다. 브라우저가 다른 경우에는 세션을 각각 잡게 된다.  Ex) ie, 크롬, firefox 
  • Source : 캠페인 추적 시 추천의 출처를 가리킨다. 소스의 예로는 구글 검색엔진, 야후 검색엔진, 뉴스레터 이름 등이 있다. 
  • Funnel : 유입경로는 보통 깔떼기 모양의 경로를 나타내며 전환율을 표시할 때 자주 사용된다.  
  • Bounced visitor : 웹사이트에 들어와서 1페이지만 보고 아무런 액션을 하지 않는 사용자. 보통 이런 경우 UX가 좋지 않다. 
  • Campaign : 유료 광고 
  • ROI : 투자 대비 수익률을 의미한다. '(수익-비용)/비용'이며, 백분율로 표시된다. 


3. 웹로그 분석 방법론과 정확성 

  • 로그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려면 우선적으로 정확한 data가 쌓여야 하는데 이는 로그 스크립트가 정확히 태깅되어야 가능하다.  
  • 사용자가 웹페이지 실행 > 웹페이지 GA 스크립트 실행 > 로그를 구글 웹분석 서버로 전송 > data 처리 > 보고서 열람 가능 
  • GA 스크립트 때문에 사이트 속도가 느려지지 않는다. js파일의 크기가 18KB 정도이며 한번 호출될 경우 재호출되지 않는다.  
  • 다른 분석툴 간의 데이터 불일치 현상은 일반적이다. 분석을 할 때 흐름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 웹 분석 시 직원교육 및 컨설팅에 투자를 해야지 단순히 도구의 도입만 해서는 제대로 된 결과를 얻기 힘들다 


4. GA 인터페이스 활용 

  • GA에는 dimension, metric 두가지 유형의 데이터가 존재한다 
  • dimension : 아이템을 설명하는 문자열 etc Ex) URL, 페이지명, 브라우저 유형, 제품명 
  • metric : 체류시간, 방문자당 PV, 반송율, PV etc 
  • 인페이지 웹로그 분석 리포트 : 사이트 오버레이와 동일하며 웹 페이지 안에서 어느 영역의 클릭이 많이 발생했는지 알 수 있다 
  • 데이터 샘플링 : 구글은 방문수가 500,000 을 초과하는 경우 표본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5. 목표 설정과 방문자 세그멘테이션 

  • 커머스 사이트에서 목표 설정을 하지 않으면 분석을 할 이유가 없다. 이를 대표적인 KPI로 설정해야 매출이 향상한다. 
  • 이상적인 funnel의 모양은 와인잔의 몸통 모양과 유사하다. 
  • 추천도서 : 상식이 통하는 웹사이트가 성공한다 by.스티브 크룩 
  • 필터를 사용하면 정확한 data 분석이 가능하다  Ex) 내부 직원 제외 
  • 에러 페이지에 대한 분석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스크립트 수정이 일부 필요하다  Ex) http 404 오류 


6. 핵심 성과 지표 (KPI) 

  • GA 스크립트 태킹을 통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집되고, 방문자 데이터를 필터를 사용하여 간결하게 하고, 목표를 정했다면 아주 우수한 것. 
  • 명확한 KPI를 설정하고 이를 조직의 비즈니스 목표와 주요 성과에 연계하지 않으면 이때까지 한 행동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 
  • 최소 매주 1회씩 마케터와 미팅을 통해 어떻게 비즈니스에 적용할지에 대하여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 
  • KPI 리포트를 월별로 발행하여 주요 임원 및 부서장 공유가 필요하다. 
  • 반송률 : 50% 이상 = 빨간색, 25~50% = 노란색, 25% 미만 = 녹색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3건 4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77
어제
84
최대
1,347
전체
154,448
Latest Crypto Fear & Greed Index

그누보드5
Copyright © 서방님.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