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의 펀드 투자법 공유 > financial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financial

저의 펀드 투자법 공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143회 작성일 07-11-05 09:09

본문

저의 펀드 투자법 업그레이드 버전(V1.1)을 공유합니다..

 

1. 신규 펀드 가입 

   1) 어떤 펀드에 신규 가입하는지가 향후 엄청난 수익 차이를 유발한다..

   초보자가 처음 접근하기에는 대체로 유명한 펀드 가입하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자산운용규모 5000억원 이상 중에 고르시면 무난한 것 같습니다..3000억 이상도 괜찮음.

   또는 각 운용사의 대표펀드로 운용사의 얼굴인 펀드들...

   그리고 장기로 운영하실 거라면 선취수수료가 있더라도 년간 수수료가

   적은 펀드에 드세요...

   예를 들면, 디스커버리 시리즈와 인디펜던스의 수익율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장투(3년 이상)하실 분이라면 디스 선택하셔야 합니다...

 

   제가 신규 가입 펀드 고르는 방법: 최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등에서 고루 상위권에

   위치한 펀드 중에서 고름.

 

  2) 2008년말까지만 세금우대 혜택을 받기 때문에, 해외펀드 세금우대 설정할 필요 없음.

   세금 우대혜택에 대한 사항을 그동안 몰랐는데, 아래 댓글 중에 2008년말까지만

   세금 우대 혜택 받는다는 내용을 보고 관련 기사를 찾아보았습니다.

   분석한 결과, 2008년말까지만 세금 우대 혜택을 받기 때문에 굳이 해외펀드 세금우대

   설정할 필요가 없네요...

   현재 시점에서 세금우대 활용법은 주식에 많이 투자하는 펀드보다는

   채권형이나 혼합형펀드가 세금우대의 효과가 더 크며, 주식형 펀드에는 굳이 세금우대

   설정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됨.

   세금우대 설정 시, 통장 쪼개기는 필수이며, 세금우대 설정 시 부분환매 불가함.

   통장쪼개기란? 개인당 세금우대 한도는 2천만(원금기준)이기 때문에, 하나의 금융상품에

                         불필요하게 2천만을 다 설정하지 말고, 필요한 만큼만 설정하여,

                         다른 금융상품에서 나머지 설정들을 활용하는 것

 

  3) 국내에서는 장기투자 시, 인덱스 펀드보다 성장형 펀드가 유리하다..

    인덱스 펀드가 성장형 펀드 대비 효과를 발휘할 때는 하락장일 때입니다...상승장일 때는

    성장형 펀드보다 뒤쳐질 수 밖에 없구요...

    더구나, 장기투자를 고려할 때라도 국내 자산 운용사 구조상 성장형 펀드가 유리하다고

    생각됩니다..

    그 이유는 현재 모 자산운영사가 국내 주식시장의 30%를 주름잡고 있지요....

    30%라는 것은 어마어머한 시장 점유율이며, 상승장에서는 합법적인 작전(?)도 가능하기에

    시장 평균 수익율보다 좋을 수 밖에 없습니다..

    단, 서두에서 설명드렸듯이, 장기적으로 상승 추세일 경우에만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11월 1일자 파이낸셜뉴스의 "‘시장 수익률 만큼 수익’ 정설,인덱스펀드

    국내서는 맥 못춰" 라는 기사 참고하시고, 위의 제가 분석한 내용(국내 자산 운용사의

    구조상의 문제)은 기사에는 없답니다..   

 

 

2. 운영

   1) 장기투자하실 분은 적절한 분산투자는 필수 요소

   단기투자는 선택&집중투자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네요...

   분산 투자가 좋은 이유는 단기적인 시황에 흔들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2) 적립식 펀드일 경우, 분산된 펀드 중에 어느 펀드에 추불하느냐에 따라 수익차이가

     발생합니다..

    저와 같은 경우, 월급 중 여유자금이 생기면 잘 달리는 펀드 1~2개에 월 1회 추불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입 후 한 달 후 펀드별 수익 현황

     A펀드     5%

     B펀드    3%

     C펀드    -3%

     D펀드     0%

 

     여러분이라면, 어느 펀드에 추불하시겠습니까? 저라면 A와 B입니다..

 

    2) 추불 후 한 달 후 펀드별 수익 현황

      A펀드    4% (1달 전 추불하였기 때문에 수익율이 조금 낮아진 후, 1달 동안 운영된 수익율)

      B펀드    5%(1달 전 추불하였기 때문에 수익율이 조금 낮아진 후, 1달 동안 운영된 수익율)

      C펀드    -5%

      D펀드    1%

 

     여러분이라면, 어느 펀드에 추불하시겠습니까? 저라면 A와 B입니다..

 

    위와 같이 한다면, 한 달에 한 번씩 수익 좋은 펀드에 추불하면, 운영 금액이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수익금액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예를 들면 물펀드 및 일본펀드, 리츠 펀드 등 점점 마이너스로 달리거나, 횡보를

    유지하는 펀드에는  추불하지 않기 때문에 기회비용 뿐만 아니라 손실 금액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향후 어떤 펀드가 마이너스가 될 지, 엄청난 수익을 가져올 지 모르기 때문에

    월 1회 잘 달리는 펀드들에 추불하면, 수익이 극대화 됩니다...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30일동안의 기준가 증가율이 가장 높은 펀드에 추불합니다.

 

   그리고 위와 같이 하려면, 정액적립식이나 거치식은 불가하며, 임의식이나

   자유적립식으로 가입하셔야 합니다..

 

3. 환매

   1) 마지막으로 장기투자가 정답은 아님!!! 때론 환매도 고려해야 함.(위험관리 필수)

   왜냐하면, 다른 펀드들은 잘 달리고 있는데, 자신의 펀드 중 어느 1~2개 펀드는 횡보이거나

   마이너스가 점점 커질 경우도 있답니다...

   이럴 경우, 더 큰 손해를 보지 않게 환매도 고려해야 합니다...

   환매한 금액으로 괜찮은 펀드에 신규 가입하거나, 자신의 펀드 중 잘 달리는 펀드에 추불

   합니다...

 

작년 가을에 펀드를 처음 시작했는데, 위와 비슷하게 했더니, 펀드 수익금액이 엄청나게 늘어나더라구요...손해보고 환매도 해 보았으며, 분산투자도 해 보았으며, 잘 나가는 펀드 열심히 추불하기도 해 보았음..

 

자신만의 펀드 운용 전략을 나름대로 세우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9월 29일자의 저의 펀드 계좌입니다..지금은 환매한 후, 분산으로 펀드 들었답니다.

(아래와 같은 차이나 몰빵 투자는 고위험이니, 따라하지는 마시구요..그 전에 여러 펀드 들었다가, 잠시동안 차이나로 몰렸던 상황입니다..)

 

SaveImg0[20071102011905].gif

 

 

아래 댓글 중에 좋은 의견은 향후 업데이트 버전(V1.2)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댓글 많이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57
어제
58
최대
1,347
전체
153,821
Latest Crypto Fear & Greed Index

그누보드5
Copyright © 서방님.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