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1억원 간호사 의사들을 거느리다 > fre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free

연봉 1억원 간호사 의사들을 거느리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1건 조회 224회 작성일 06-11-03 12:57

본문

연봉 1억원 간호사 의사들을 거느리다
[조선일보 2006-11-03 02:57]    go_newspaper.gif
200611020486_01.jpg

글로벌 인생 … [1] 미국 코넬대학병원 김원숙씨
아시아 9년 누비다 미국 병원 진출 열정적이고 발 넓어 별명은 ‘문어’
아시아 의사들 뽑는 병원의 매니저 역할도

[조선일보 신지은기자]

청년 실업이며, 구조 조정, 자영업 불경기로 고생하는 한국 경제. 하지만 기회는 밖에도 있다. 취업·창업의 무대를 세계로 넓혀 새로운 기회를 잡은 사람들이 우리 주변엔 의외로 많다. 평범한 사람들이 펼치는‘글로벌 인생’의 성공담이 여기 있다.

의사를 채용하는 간호사, 의사보다 월급을 많이 받는 간호사, 의사보다 직급이 높은 간호사…. 김원숙(45)씨가 바로 그런 ‘수퍼 간호사’다. 지난 9년간 중국·베트남·홍콩·싱가포르 등 아시아를 주무대로 활동하다 지난달 미국 코넬대학병원으로 옮겨 왔다. 세계 최고의 의료진 사이에서 자기 능력을 시험해 보고 싶어서였다.

그는 “해외에선 간호사도 얼마나 열심히 일하고, 능력이 있느냐에 따라 연봉이 천차만별로 차이 나고, 고속 승진도 가능하다”며 “여기서 인생의 승부를 걸어 보겠다”고 말했다.

10년 전만 해도 그는 국내의 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평범한 간호사 중 하나였다. 그는 “적당한 스트레스와 소박한 월급, 퇴근시간만 되면 즉각 집으로 달려가는 생활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러던 어느 날 IMF 구조조정의 여파로 월급이 절반으로 뚝 깎여 버렸다. 게다가 나이는 30대 후반. 당시 간호사 나이로는 퇴직 연령에 가까워 구조조정 1순위였던 것이다.

그는 한 번도 생각지 않던 모험을 결정한다. 제삼국행(行). ‘한국에만 병원이 있냐. 간호 기술이야 만국 공통이니 해외에서 일자리를 찾자’고 마음먹었다. 그는 “당시 영자(英字) 신문에 해외 간호사를 찾는 광고가 많았다”고 했다.

영어로 원서 써서 지원하고 떨어지기를 수십 차례. 1998년 말 마침내 국제적 응급의료 지원회사인 ‘인터내셔널 SOS’에서 “채용됐다”는 편지를 받고 베트남으로 날아간다. 월급은 IMF 이전 받던 국내 연봉과 비슷했고, 숙박시설 제공, 건강보험료 지급 등의 복지조건이 더해졌다. 물가는 한국보다 쌌다. 삶의 질이 높아진 것이다.

김씨는 “나이 많다고 차별받지 않고, 의사만큼 전문성을 인정해 주니 2배, 3배로 능력이 생기더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8년간 같은 회사 소속으로 태국·홍콩·싱가포르·중국 등을 옮겨 다니며 ‘문어 다리(octopus) 미스 김’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다리가 8개 달린 것처럼 열정적으로 일한다는 뜻이다.

말이 간호사지 아시아권의 의사들을 직접 채용하는 ‘총괄 매니저’ 직함도 갖고 있다. 당시 그의 연봉은 한국 돈으로 1억원을 훌쩍 넘겨 웬만한 의사보다도 높았다.

김씨를 가장 고생시킨 문제는 영어였다. 발음을 못 알아들어 손짓 발짓으로 의사 소통을 했다. 한 번은 ‘환자 발에 가시가 박혔다’는 말이 영어로 떠오르지 않아 급히 펜을 찾아 그림을 그리기까지 했다. 그는 “피곤해서 쓰러질 것 같던 매일 밤 낯선 영어 단어들을 꾸역꾸역 외우며 조금씩 극복해냈다”고 했다.

김씨가 강조하는 것은 “국제 간호사에 대한 환상을 갖지 말라”는 것이다. ▲국제간호사자격증 ▲해외 근무 경력 ▲영어 구사 능력 ▲국제 NGO(비정부기구) 자원봉사 경력 등을 갖췄다면 국제간호사로서 자신을 훌륭하게 세일즈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지명도가 높은 병원만 좇지 말고 자기가 일을 편안하게 소화해낼 수 있는지도 고려하라”며 “무턱대고 선진국을 고집하기보다 그 나라 물가와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연봉을 비교해서 선택하라”고 조언했다.

(신지은기자 [ ifyouare.chosun.com])


<조선일보 독자를 위한 무료 모바일뉴스 305+NATE>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 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 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댓글목록

서방님님의 댓글

서방님 작성일

<P><STRONG>최고의 간호사 연봉이 고작 1억원?</STRONG></P>
<P>조선일보 11월 2일자에는 「연봉 1억원 간호사 의사들을 거느리다」란 제하의 기사(신지은 기자)가 실렸다. "의사를 채용하는 간호사, 의사보다 월급을 많이 받는 간호사, 의사보다 직급이 높은 간호사" 스토리를 전하며 그 주인공이 "지난 9년간 중국·베트남·홍콩·싱가포르등 아시아를 주무대로 활동해왔으며 "말이 간호사지 아시아권의 의사들을 직접 채용하는 ‘총괄 매니저’직함도 갖고 있다. 당시 그의 연봉은 한국 돈으로 1억원을 훌쩍 넘겨 웬만한 의사보다도 높았다"고 밝히고 있다.</P>
<P>언뜻 보기엔 간호사의 성공스토리를 부각하는 내용 같지만 웃기는 기사였다. 최고의 간호사가 받을 수 있는 임금이 고작 1억원 밖에 되지 않는다는 말인가. 그리고 그 밑에서 일하는 의사들은 적은 연봉에서 일하는 것을 보면 웬만한 한국의 동네 병원 의사들보다도 낮은 소득을 올리고 있음이 분명하다.</P>
<P>대한민국에는 연봉 1억원이상 봉급자 적잖게 많다. 정부출자 공기업의 임원들, 국책은행의 부장급, 심지어는 한국은행 수위들까지 받는 실정이다. 지난 국감에서 한나라당 이혜훈 의원은 국책은행의 부장급 연봉은 산업은행이 1억천700만원, 수출입은행은 1억천500만원, 중소기업은행은 1억500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고 밝혔다.</P>
<P>또 금융 공기업도 한국투자공사가 1억천7백96만원, 한국주택금융공사는 1억9백79만원, 예금보험공사는 1억600만원, 신용보증기금은 1억400만원으로 모두 1억원을 넘었다. 최고경영자 연봉의 경우 산업은행 총재가 7억천100만원으로 가장 많고, 수출입은행장이 6억3천700만원,중소기업은행장이 5억7천600만원, 주택금융공사 사장은4억2천5백35만원의 순이었다. 문제는 이같은 고임금이 경영성과와 연계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지난해 부실보증에 따른 재정악화로 공적자금을 지원받은 기술보증기금 이사장도 3억9천만원에 달했다.</P>
<P>이렇듯 본인들 능력 여부를 떠나 어수룩한 구조적 취약점 때문에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업들의 결실이 엉뚱한 인간들의 주머니속을 채워주고 있는 것이다. 솔직히 조선일보에도 연봉 1억원되는 중견급 기자들 적잖은 것으로 알고 있다.</P>
<P>연봉 1억원 간호사 스토리는 씁쓸했다. 최고의 '슈퍼간호사' 몸값이 괜찮은 기업체의 중견간부 수준을 밑돈다면 이땅의 수많은 간호사들이 받고 있는 처우를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이 기사는 최고의 간호사가 받는 몸값이 고작 이 정도인가란 문제를 꼬집어야 했다. 최고의 테크니션이 어영부영 무임승차하는 허접들보다 하찮은 대우를 받는 현실이 문제 아닌가?<BR></P>

Total 94건 7 페이지
free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 서방님 132 11-08
열람중 서방님 225 11-03
2 서방님 109 11-01
1 관리자 114 08-29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13
어제
84
최대
1,347
전체
154,484
Latest Crypto Fear & Greed Index

그누보드5
Copyright © 서방님.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