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der 속성으로 테두리 표시하기 > html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html

border 속성으로 테두리 표시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106회 작성일 12-10-30 15:05

본문

border 속성은 단어 뜻 그대로 테두리를 표시하는 것이다. HTML 문서의 모든 요소는 자기만의 일정한 영역을 가진다. 배경색이나 테두리가 없으면 시각적으로 표시되진 않지만, 사실은 자신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border 스타일을 지정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스타일로 이 영역의 가장자리를 표시한다.

a border span border

p border

div border
table border

예를 들면 위와 같은 것이다. 너비나 높이 속성이 지정되지 않았을 때 a와 span 요소는 글자가 입력된 부분만 영역으로 갖으므로 연달아서 표시된다. p 요소, div 요소는 문단과 특정 영역을 나타내므로 가로 전체를 기본 영역으로 가진다. table 요소 역시 td나 th에 입력된 내용만큼을 자신의 영역으로 가진다. border 스타일을 적용하면 해당 요소를 다른 요소와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어서 내용에 집중하기 좋다.

border 속성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테두리 두께를 정의하는 border-width, 테두리 모양을 정의하는 border-style, 테두리 색을 정의하는 border-color가 그것이다. 실제로 속성을 적용해보자.

<예제 1>

HTML, CSS 코드
<div style="border-width:6px; border-style:double; border-color:orange; width:60%; margin:0 auto; padding:10px; text-align:center">
Border Style Sample
</div>
결과
Border Style Sample

border-width:6px에서 테두리 두께가 6픽셀이라는 것, border-style:double에서 테두리 모양이 두 줄이라는 것, border-color:orange에서 테두리 색이 오렌지 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border-width는 테두리 두께로, 길이 단위를 사용하면 된다. border-color는 테두리 색이니 색 이름이나 HTML, RGB 색상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그럼 border-style은 어떻게 지정해야 할까? border-style은 총 8 가지이며 각 스타일 적용 예는 아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CSS border 속성>>
<순서> border: [테두리 두께] [테두리 모양] [테두리 색]
<border-style 속성> border-style: solid
Border Style - solid
border-style: double
Border Style - double
border-style: dotted
Border Style - dotted
border-style: dashed
Border Style - dashed
border-style: groove
Border Style - groove
border-style: ridge
Border Style - ridge
border-style: inset
Border Style - inset
border-style: outset
Border Style - outset
<적용 예>
border: 3px dashed steelblue

border-style 중 위의 네 가지는 평면적이고 아래 네 가지는 음영을 이용해 약간 입체감이 있다. groove/ ridge, inset/ outset은 서로 반대되는 속성이며 둘씩 짝을 이룬다. 또한, border 속성은 font 속성과 같이 두께, 모양, 색을 border라는 하나의 속성으로 묶어서 표현할 수도 있다. 묶어서 표현할 땐 위 표의 맨 위 줄처럼 border: [테두리 두께] [테두리 모양] [테두리 색] 순서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생각해봐야 할 것이 있다. 만약 상하좌우에 똑같은 두께를 사용하지 않고 왼쪽 테두리만 두껍게 한다면? 테두리를 위, 아래에만 표시하려면? 이런 기능을 위해 border 속성은 top, right, bottom, left로 각 테두리의 개별 속성을 정의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border-top-width: 3px이라고 스타일을 정의하면 해당 요소의 위쪽 테두리만 3픽셀이 표시된다. 실제로 상하좌우 중 한 군데만 스타일을 적용한 예를 아래 표에서 살펴볼 수 있다.

통합 스타일 속성 적용 예
border-top
border-top:10px solid orange
border-right
border-right:10px solid crimson
border-bottom
border-bottom:10px dashed steelblue
border-left
border-left:18px solid teal
개별 스타일 속성 적용 예
border-top-width
border-top-style:solid; border-top-color:orange; border-top-width:10px
border-right-width
border-right-style:solid; border-right-color:orange; border-right-width:10px
border-bottom-width
border-bottom-style:solid; border-bottom-color:orange; border-bottom-width:10px
border-left-width
border-left-style:solid; border-left-color:orange; border-left-width:10px
border-top-style
border-top-width:10px; border-top-color:orange; border-top-style:dotted
border-right-style
border-right-width:10px; border-right-color:orange; border-right-style:dotted
border-bottom-style
border-bottom-width:10px; border-bottom-color:orange; border-bottom-style:dotted
border-left-style
border-left-width:10px; border-left-color:orange; border-left-style:dotted
border-top-color
border-top-width:10px; border-top-style:solid; border-top-color:red
border-right-color
border-right-width:10px; border-right-style:solid; border-right-color:red
border-bottom-color
border-bottom-width:10px; border-bottom-style:solid; border-bottom-color:red
border-left-color
border-left-width:10px; border-left-style:solid; border-left-color:red

상하좌우 개별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니, Good! 그런데 만약 상하좌우에 각각 서로 다른 속성을 지정하면 스타일이 너무 길어진다. 예를 들어 왼쪽 테두리는 6픽셀, 나머지는 1픽셀로 지정하려면 border-left:6px solid #ccc; border-top:1px solid #ccc; border-bottom:1px solid #ccc; border-right:1px solid #ccc와 같이 스타일 정의 부분이 굉장히 길어진다. 이럴 때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각 속성을 상/ 우/ 하/ 좌 순서로 따로 지정하는 방식, 좌우 속성이 같을 때 상/ 좌우/ 하처럼 좌우를 묶어서 지정하는 방식, 상하가 같은 속성, 좌우가 같은 속성을 지닐 때 상하/ 좌우를 묶어서 지정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상하좌우를 지정하는 이 방식은 border뿐 아니라 margin, padding 등 모든 스타일 속성에 적용되니 잘 기억해두는 것이 좋다. 상하좌우에 서로 다른 스타일을 적용할 때 보통 다른 두 속성은 고정되고 한 속성만 다르게 적용할 때가 있다. 예를 들자면 테두리 색과 모양은 모두 같은데 테두리 두께만 상하좌우가 다른 상황이다. 이럴 땐 테두리 색과 모양은 border 속성으로 지정하고 테두리 두께만 border-width 속성으로 상하좌우 값을 입력한다. 상세한 스타일 적용 예는 아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하좌우 지정 방식 적용 예
border-width: 상 우 하 좌
border:solid orange; border-width:10px 4px 10px 4px
border-width: 상 좌우 하
border:solid orange; border-width:10px 4px 10px
border-width: 상하 좌우
border:solid orange; border-width:10px 4px
border-style: 상 우 하 좌
border:6px orange; border-style:double dotted double dotted
border-style: 상 좌우 하
border:6px orange; border-style:double dotted double
border-style: 상하 좌우
border:6px orange; border-style:double dotted
border-color: 상 우 하 좌
border:8px solid; border-color:orange steelblue orange steelblue
border-color: 상 좌우 하
border:8px solid; border-color:orange steelblue orange
border-color: 상하 좌우
border:8px solid; border-color:orange steelblue

위 표 내용을 실제로 적용할 땐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된다. 아래에 지정된 스타일은 내 블로그 댓글에 댓글을 달았을 때 테두리 형태다.

border:solid crimson; border-width:1px 0 1px 6px; padding:10px

border 속성은 대부분 태그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글에서 특정 요소를 강조하거나 다른 부분과 구분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table 태그로 표 만들기에서 봤듯이 표 모양을 구성하는데도 border는 큰 역할을 한다. 또 블로그 스킨을 꾸미거나 모양을 바꿀 때도 border 속성을 활용할 수 있다. :hover를 사용하면 위의 마지막 예처럼 마우스 커서에 따라 스타일이 바뀌는 테두리를 적용할 수도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23건 10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86
어제
84
최대
1,347
전체
154,457
Latest Crypto Fear & Greed Index

그누보드5
Copyright © 서방님.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