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rules=groups 」
일단 표를 만들고 <TABLE 」안에 「 rules=groups 」을 추가 시켜 주면된다.
① 적용태그
<TABLE rules=groups border="1" cellpadding="2" cellspacing="0" width="100" bgcolor="white"> <TR> <TD> <P></P> </TD> <TD> <P></P> </TD> <TD> <P></P> </TD> </TR> <TR> <TD> <P></P> </TD> <TD> <P></P> </TD> <TD> <P></P> </TD> </TR> </TABLE> |

② 적용결과보기
▶ 지정하지 않았을때
(위의 태그에서 표에 색만넣었다.)
▶ 지정했을때
(칸이 없어진것이 아니라 선만 없어진 것이다)
여러가지 테두리 설정하기
맨 윗칸은 테이블의 전체태그이다. 이 태그는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시키는 것으로
<TABLE 」 안에 넣어야 한다.
적용시킨 표가 잘 보이도록 아래태그에서 표선에 색상만 따로 지정했다.
<TABLE border="1" cellpadding="2" cellspacing="0" width="100%"> <TR> <TD> <P></P> </TD> <TD> <P></P> </TD> <TD> <P></P> </TD> </TR> <TR> <TD> <P> </P> </TD> <TD> <P> </P> </TD> <TD> <P> </P> </TD> </TR> <TR> <TD> <P> </P> </TD> <TD> <P> </P> </TD> <TD> <P> </P> </TD> </TR> </TABLE> |
<TABLE rules=groups border="1" cellpadding="2" cellspacing="0" width="100%" 」 |
[남기려는부분] |
[ 적용태그 ] |
[적용결과] |
① 기본표 (3칸 3줄) |
없음 |
|
② 외곽만 |
rules=groups |
|
③ 가운데 |
frame=VOID |
|
③ 아래 |
frame=BELOW |
|
④ 위 |
frame=ABOVE |
|
⑤ 위,아래 |
frame=HSIDES |
|
⑥ 왼쪽,오른쪽 |
frame=VSIDES |
|
⑦ 왼쪽 |
frame=LHS |
|
⑧ 오른쪽 |
frame=RHS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