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간 바뀐 HTML 태그(Tags) 규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135회 작성일 11-08-05 09:30본문
-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tml> 엘리먼트에 위와 같이 xmlns 속성을 추가해줍니다.
이것은 문서형 선언(DTD)과 비슷하게 html이 어떤 XML 언어에 속해있는지 식별하도록 하는데 사용됩니다. - 빈태그 표기법 : empty elements (elements without closing tags)
대부분의 태그는 '시작(열기)태그'와 '종료(닫기)태그'의 한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br><img> 태그와 같이 짝이 없이 혼자 작동하는 태그들도 있습니다. 이런 짝없는 태그를 '빈요소(Empty Elements)' 라고 부르며 이런 빈요소 들을 표기할 때는 브라우저에게 "예는 짝이 없으니 종료태그를 찾느라고 수고할 필요가 없어!!" 라고 친절하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마지막 ">" 앞에 슬래시를 넣어주면 됩니다.
<br> 태그를 예로 들면 <br /> 라고 적어야 한다는 것이죠.
<img> 태그는 <img src="dir/image.gif" alt="imgName" /> 이런식으로 적어 주셔야합니다.
슬래시 앞에 공백을 하나 추가해주는 것이 좋은데 그것은 슬래시 앞에 공백없이는 "/>"를 인식하지 못하는 옛날 브라우저들을 위해서입니다. 하위 버젼과의 호환성을 위해서 슬래시 앞에 공백을 꼭 넣어주세요. - 대체 텍스트 입력 : <img> 엘리먼트에는 반드시 alt 속성을 넣어줍니다.
alt (alternate : 교체하다, 대리인) 속성은 이미지 파일이 없어졌을 때 대신 표시해줄 이름(text)를 적어 주는 것입니다. 이는 파일이 없어졌을 때 외에도 그림을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브라우저 등에서도 그 이미지가 가진 의미를 이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 속성의 값들은 반드시 따옴표로 둘러싼다.
틀림: <table rows=3>
옳음: <table rows="3"> -
간소화된 속성의 사용 금지
틀림: <textarea readonly>READ-ONLY</textarea>
옳음: <textarea readonly="readonly">READ-ONLY</textarea>
이 외에도 checked , nowrap 등과 같은 약식표기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태그이름과 속성은 반드시 소문자로 표기
틀림: <BODY><P>The Best Page Ever</P></BODY>
옳음: <body><p>The Best Page Ever</p></body> - 모든 인라인 요소는 블록 요소에 둘러싸여야 한다.
틀림: <body>Welcome to my page.</body>
옳음: <body><p>Welcome to my page.</p></body>
본문(body)에 직접 텍스트를 삽입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h1><p><table><div>태그와 같은 블록 요소로 감싸주어야합니다.
* 블록 요소와 인라인 요소 에 관하여 모르시는 분은 다음 "DIV 레이아웃" 단원의 설명을 참조해주세요. -
name 속성은 폐기, id 속성만 사용
'name' 속성은 엘리먼트에 이름을 주어 스타일쉬트나 스크립트에서 참조 할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XHTML에서는 문서내의 엘리먼트에 유일한 이름을 부여하기 위해서 'id' 속성 만을 사용합니다.
* 사실 name 속성은 그다지 많이 사용되는 편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별문제가 되지 안는 변경사항이죠.
위 8가지 목록은 모든 변경사항을 설명 한 것은 아니지만 쉽게 접하게될 주요 변경목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다지 많이 달라지지는 않았죠?
"/>"를 추가하고 "alt" 속성을 꼭 적어주라는 좀 귀찮아 진 규칙과, 기존 문법을 정확하게 지켜야 한다는 내용이 대부분 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XHTML은 오류(Error)로 인식 할 것이라는 내용이죠.
<b>글자</b> -> <strong>글자<strong>
<i>글자</i> -> <em>글자</em>
<em> = emphasis(강조) =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기울어진 이탤릭체(italic)로 표현합니다.
<strong> - stronger emphasis(강한 강조) =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굵게(bold) 표현합니다.
기타 변경사항 참조 :
- 위키백과 - " 유효한 XHTML 문서 작성하기 "
- XHTML1.0 규정집 (한국어 번역문 by Trio.co.kr) - " 4. HTML4와 차잇점 "
- XHTML & CSS 관련 책을 하나 사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