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주면 따는 자격증 3만4000개 > information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nformation

돈 주면 따는 자격증 3만4000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64회 작성일 19-11-19 10:12

본문

자격증은 그 자체로 시장이 된다. 특정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커리큘럼을 민간에서 직접 선정하고, 시험 과목과 문제, 강의 등도 별도로 만들 수 있다. 시장성에 따라 교재를 출간해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A라는 회사가 반려동물관리사 자격증을 만들었다고 가정하자. 이 회사에서 만든 인터넷 강의 사이트에서 총 30만~40만원에 수업을 들을 수 있고, 시험도 온라인으로 치를 수 있다. 출석률 60%, 시험점수 60점만 넘으면 자격증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이다. 대다수 온라인 자격증 학원이 이 같은 방식으로 운영된다.

최근에는 비슷한 업체가 늘어 경쟁이 심해지자 수강료 무료, 자격증 발급비 유료 시스템이 보편화되었다. 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이 많아야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다. ‘특별 장학금’을 지급한다는 명목으로 인터넷 강의 수강료를 받지 않는 대신에, 시험 응시료나 합격증 발급비용을 따로 받는 방식이다. 서울에 위치한 한 발급기관은 반려동물관리사 자격증을 발급받는 조건으로 상장형 자격증과 카드형 자격증 세트를 8만원에 내주고 있다. 동영상 강의와 시험은 온라인 시스템으로 운영하되, 강의 교안과 예상문제집을 (무료로) 수강신청한 사람들에게 제공한다. 시험 문제는 대부분 예상문제집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정답을 펼쳐둔 채 시험을 치를 수 있다. 


사업을 계속 확장하는 업체들은 각종 ‘협회’를 추가 신설해 규제망을 피해 가고 있다. 수강료를 받지 않아 애초부터 수강료 환불에 관한 민원 가능성을 차단하기도 했다. 관계 부처의 규제책은 아직 민간 등록 자격증 시장의 확대를 잠재울 만큼 효과적이지 못하다. 개인이 그나마 당장 할 수 있는 일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마련한 ‘민간자격정보서비스(pqi.or.kr)’에서 자격증을 누가, 어떻게 만들고 있는지 직접 확인하는 것뿐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 알아보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196건 13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61
어제
225
최대
1,347
전체
154,920
Latest Crypto Fear & Greed Index

그누보드5
Copyright © 서방님.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