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ip충돌 피하고 연결하기 (공유기 허브모드 연결) > information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nformation

공유기 ip충돌 피하고 연결하기 (공유기 허브모드 연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584회 작성일 18-11-21 20:02

본문

인터넷이 되게 해주는 선이 1개 있습니다. 그 선을 pc가 있는 방으로 끌어와서 공유기에 연결해 pc로 인터넷을 하고, 와이파이도 합니다.

그런데 다른 방에 있는 가족이 pc를 구매했습니다. 

그리고 다른 방에도 와이파이가 되게 공유기를 설치 할 때! 공유기 ip충돌이 일어나게 됩니다.  


간단하게 1,2,3만 보고 따라하시면 됩니다. 


허브공유기 : 허브 공항이라고 아시죠? 중개해주는다는 의미입니다.  다른 랜포트추가나 다른 방에 pc와 와이파이연장등의 목적으로 보조적으로 설치하는 공유기라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1.허브공유기로 쓸 공유기와 컴퓨터를 랜선으로 연결한다.

2.허브공유기 공장초기화 시키고 설정에 들어가 공유기 IP를 바꾼다. DHCP 기능을 해제한다.


세부설명

2- 1 공유기 설정은 인터넷창에서 공유기 IP주소를 치면 들어가진다.  대부분 http://192.168.0.1

2-2 고급설정-내부네트워크설정에 들어가 DHCP를 해제, UNUP도 해제 후, 적용을 누른다.

2-3 내부 네트워크 설정에 내부 IP주소의 끝자리를 다른 컴퓨터 내부IP주소와 겹치지 않게 다른 값으로 바꾸고 적용을 누른다. 예) 192 .168. 0. 0200 을 192. 168. 0. 0201 로 바꾼다. 

3.외부에서 들어오는 선을 허브공유기의 WAN포트가 아닌 LAN포트에 연결한다.


11.JPG?type=w222.JPG?type=w2

좌 사진: 일반적인 단일 공유기연결                             우 사진: 허브공유기로 쓸 때 공유기 랜선연결

 

----------------------------------------

자세한 설명


와이파이가 되는 무선공유기에 이미 연결을 해놨고, 공유기에서 선을 따와서 다른 방에서도 공유기로 연결하고 싶은겁니다.

이럴 경우 처음 공유기연결과 다르게 다른 방 공유기의 역할을 바꿔서 연결해야 합니다. 이때 다른 방 공유기의 연결 방식을 공유기 허브모드라고 합니다. 


일반연결

111.JPG?type=w2


일반연결은 사용 인터넷 선( 돈 주고 쓰는 인터넷 선)을 WAN포트에 꽂고 추가 랜케이블을 각각 랜포트에 연결해서 사용할 pc가 있는 방으로 선을 이어갑니다. 그리고 무선와이파이 신호도 자동으로 보내고 스마트폰으로 잡아서 쓰면 됩니다. 여기까지만 하는거면 크게 어렵지도 않고, pc에 연결 후 해당 공유기의 설정 주소로 들어가서 펌웨어 업그레이드 및 무선와이파이 이름 변경,비밀번호 설정만 해놓고 쓰면 됩니다. 어려울 것도 없어요. 이렇게 처음 연결된 공유기를 메인공유기라고 부르겠습니다.



문제는 남동생 방에서 벌어집니다. 남동생방은 집 구석에 있는데 와이파이 신호가 안 잡힙니다. 그래서 공유기를 하나 더 사와서 무선인터넷도 하고 pc에 인터넷선도 연결하려는 계획을 세웁니다. 이럴 경우 위와 똑같이 연결하면 남동생방은 무선인터넷은 커녕 pc인터넷연결도 되지 않습니다.

원룸이나 고시원같은 다중네트워크에서도 같은 일이 벌어집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터넷을 하려면 회선업체의 IP(집주소)가 필요합니다. 과거 인터넷업체는 한 IP당 한 컴퓨터를 연결하게끔 했는데요.(치사해!) 공유기가 등장해 그 상황을 막아줬습니다.(공유기 만세!) 공유기는 한 IP에서 온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게이트웨이라고 합니다. 게이트웨이기능을 할 때 필요한 것이 DHCP입니다. (DHCP=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서버).

메인공유기의 DHCP와 남동생방공유기의 DHCP가 동시에 활동하며 내부IP가 겹쳐 네트워크가 다운되버리는 것이 위에 벌어진 일의 원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남동생 공유기에서 DHCP를 꺼줘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UNUP까지 꺼주세요.

 

DHCP - 로컬 네트워크에서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서비스입니다.

UNUP - 로컬 네트워크에서 호스트의 위치나 장치의 사용을 허가하는 서비스입니다.



이제 허브 공유기의 설정에서 내부 아이피를 바꿔주세요.

그럼 겹쳐서 네트워크가 꺼지는 일은 없어집니다.

내부아이피란 공유기설정을 들어갈 수 있는 주소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iptime의 경우 보통 http://192.168.0.1 인데요. 저는 공유기를 허브모드로 할때 192.168.0.9으로 바꿨습니다. 주소의 끝 자리를 바꿔줘야 합니다. 저처럼 바꾸면 나중에 데스크탑에서 공유기설정을 바꾸려고 들어갈 때는 http://192.168.0.9 로 들어가면 됩니다.

이렇게 설정작업을 마친 후

222.JPG?type=w2

케이블을 메인공유기처럼 WAN에 넣지 말고 랜포트로 넣어주세요.

그리고 인터넷선을 연결한 PC에선 잘 잡힙니까? 무선인터넷은 잘 잡힙니까?

인터넷이 되면 성공.  

안되면 다시 허브공유기 리셋 누르고 천천히 시작해보시고요.

그래도 안되면 특이한 설정의 공유기일 수도 있으니 자신의 공유기를 인터넷검색해보세요. (환경설정주소가 다른 경우 말곤 대부분 비슷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196건 18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39
어제
225
최대
1,347
전체
154,898
Latest Crypto Fear & Greed Index

그누보드5
Copyright © 서방님.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