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 MIUI 글로벌롬, EU롬, 내수롬, TWRP, 커스텀롬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418회 작성일 18-10-11 17:40본문
홍미노트5의 정식발매로 인하여 샤오미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국내 휴대폰은 그냥 구매 후 유심을 넣어서 사용하면 되지만, 샤오미폰은 직구로도 배송대행업체를 통해 살 수 있어서 롬의 종류에 대해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샤오미는 중국 회사이기 때문에 첫 출시는 중국에서 하게 됩니다. 국내판이라거나 내수판이라는 것은 중국롬이 탑재된 것을 의미합니다. 샤오미에게 내수는 중국이니까요. 중국은 구글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구글이 중국에서 철수하였고 중국정부는 구글접속을 차단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중국롬에는 구글서비스가 빠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앱을 다운받느냐는 문제가 남는데요, 화웨이나 샤오미 등의 제조사는 구글앱스토어 처럼 자체적인 앱스토어를 운영합니다. 그래서 구글플레이가 없어도 앱을 다운받는 데는 문제가 없고, 중국정부가 금지하고는 있지만 해적판 구글플레이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보통 언락을 통해 eu 롬이나 중국롬으로 넘어가기 전에 임시적으로 설치해서 사용합니다. 영어와 중국어만 사용가능한데 언어의 불편함 보다도 중국어로 씌어져 있는 기본어플들이 많아서 대게는 언락기간 15일만 채우면 넘어가 버리죠. 갤럭시를 쓸때 통신사 기본앱도 찝찝했었는데요, 중국어로 씌여있는 앱은 더 찝찝합니다. 이게 뭔지 알기가 어렵거든요.
▲ 어느 판매자의 옵션입니다. 중국판/국제판/개봉글로벌롬설치로 옵션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개봉글로벌롬설치 옵션은 무엇인가?
샤오미는 유럽이나 인도에 진출하면서 중국롬을 그대로 쓸 수 없으니 글로벌롬을 만듭니다. 이 글로벌롬에는 다양한 국가의 언어가 들어가 있고, 구글앱스토어 같은 구글서비스가 탑재되어 있으며, 중국앱들은 빠져있습니다.
개봉글로벌롬설치는 중국 내수용 기기에다가 언락을 거쳐 글로벌롬을 올린 경우입니다. 소비자가 올리려면 15일의 기간을 기다려서 하는 일을 대신 해준 것이죠. 하드웨어는 국제판이나 중국판이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중국롬에서 글로벌롬으로 올린것은 동일하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지금까지의 글로벌롬,중국 내수롬은 모두 샤오미가 만든 것입니다. 하지만 eu롬은 샤오미에서 공식적으로 만든 것은 아니고, 중국 내수용 롬을 유저들이 글로벌롬화 한 것입니다. 구글 서비스 넣고 중국롬 빼고 언어 추가하는 방식 말이죠.
eu 롬 이외에도 모키롬이나 리니지롬 등 유저들이 커스텀한 롬들이 많습니다. 이것을 커스텀롬이라고 부릅니다. eu롬은 miui를 기반으로 하지만 리니지롬 등은 구글순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xda에 가면 이런 롬들의 공유가 활발합니다. 이런 커스텀롬을 올리려면 twrp라는 리커버리, 즉 바탕이 되는 기반 프로그램을 깔아줘야 합니다.
글로벌롬은 굳이 twrp를 깔 필요가 없습니다. 샤오미 자체의 리커버리가 올라가 있기 때문이죠. 올라가지만, twrp에서는 OTA(자동업데이트)가 되지 않습니다. eu롬 등의 커스텀롬은 반드시 twrp가 필요합니다. twrp 또한 개인유저가 만든 것입니다.
관련링크 (출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