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비즈메이커 할 때 간단하지만 꼭 알아야 할 팁 > information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nformation

엠비즈메이커 할 때 간단하지만 꼭 알아야 할 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205회 작성일 13-10-18 11:02

본문

출처 : http://blog.naver.com/cay012?Redirect=Log&logNo=10158502816

 

엠비즈메이커 할 때 간단하지만 꼭 알아야 할 팁! 

 

 

알면 간단한데 처음 할 때는 설명해주는 사람도 없고 설명서에도 안 나와 

앱을 만드는데 쉽게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엠비즈메이커를 쓴다면 꼭 알아야 할 팁!  

 

(강사님은 몇 주를 고생해서 알게 된 내용들이지만, 강의를 듣는 우리는 단 몇 분만에... 

 컴퓨터하면 이런 일들이 많지요^^) 

 

 

1. 서버접속 확인 : 엠비즈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앱을 만들면 엠비즈 자체 서버에 저장이 된다.

                             그러므로 앱을 제작할 때에는 서버에 접속이 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1) 접속이 되어 있을 때 : 왼쪽 상단과 오른쪽 하단에 서로 붙어 있는 표시가 되어 있다.

 

      
   

 2) 접속이 안 되어 있을 때 : 서로 떨어져 표시가 된다.

 

    

 

 

 3) 서버 접속을 하려면   ID : sa / 비번: 1

    서버 모양 아이콘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창이 뜬다.

 

 

 

2. 시작할 때에는 모델 저장부터 하고 시작하기 (저장폴더 확인)

 

   프로그램 만들때는 반드시 앱프로그램 안에 폴더를 만들고  

   폴더명을 자기가 만들고자 하는 앱의 이름으로 만들어야 한다.

   엠비즈가 그렇게 우수한 프로그램은 아니다보니 폴더를 바꾸거나 덮어쓰기 하고 그러다보면 오류가 날 때가 많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기본 폴더에 저장하기를 추천합니다.

 

    그리고 메인화면이 될 파일(QPM)의 이름은 대표성 있는 이름으로 정해주는 것이 좋다. ( 예) 메인화면)

 

   

 

 

  

 

3. 운영환경 확인하기

 : [환경] - [운영환경] - 단말기 정보 탭에서

   자기가 사용하는 핸드폰을 등록해주면 등록된 핸드폰에 최적화된 환경으로 앱을 만들 수 있다.

 

   참고로 기본적으로 모델을 생성해서 나오는 화면은 갤럭시S2 화면 크기에 맞게 나온다.


 



 이제 나에게 맞는 앱제작 환경이 설정이 되었다.

 

 

4. 기준 실행경로 확인하기

 

앱을 제작하여 폰에서 실행할 경우

핸드폰에는 C라는 루트디렉토리가 없으므로

기준 실행경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항상 모델 저장후에는 운영환경에 기준실행경로를 확인하여

경로는 C/앱비즈/어플리케이션/앱프로그램/  [앱을 만들 폴더]에 지정해야 한다.

 

그냥 놔두면 기준 실행경로는 [앱프로그램]에 되어 있으므로

시작단계에 반드시 기준실행경로를 확인한다.




 

 

[그 외에 참고할 내용들]

 

★ 앱을 완성하고  패키지를 생성하면 엠비즈 앱스토어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이 때 테스트 마켓과 오픈 마켓이 나오는데

 

   테스트 마켓 : test를 목적으로 자기만 확인할 수 있음

   오픈 마켓 : 다른 사람에게 공개할 수 있음. 유료도 가능

                   단, 엠비즈 마켓에서의 검수 등록 됨.

 

   앱을 다운받으려면은 앰비즈 엔진을 다운받아야 가능(자동으로 다운 받아짐)

  

   여기서 올리는 것은 플레이스토어에 올라가는 것이 아닙니다.

   앰비즈의 자체 앱스토어에 올라갑니다.

 

  

★ 아톰명 부여하기 

 

그냥 디자인 사각형은 아톰명을 부여하든 별 상관은 없으나

 

데이터 입렵란에서의 아톰명은 반드시 확인

 

데이터 입력란을 사용할 때는 항상 스타일 속성-데이터 속성-아톰명 은 항상 세트로

확인한 후에 작업을 합니다.

 

처음에 필드명과 아톰명을 확인하지 않고 그냥 두면

나중에 명령을 줄 때 머가 먼지 헷갈려서 모르게 되므로 데이터입력란을 사용할 때는 아톰명을 먼저 만들어 줍니다. 

 

포토샵 작업할 때 레이어1,2,3,4로 두지 않고 각각의 레이어에 이름을 붙여두는 것과도 같은 이치랍니다.

 



 

 

* 데이터입력란을 만들었을 때에는  [F5]-[F10]을 누르는데

  [F5]는 데이터 생성 / [F10]은 서버에 저장

 

  필드가 모여서 테이블이 되는데

 

  이 작업을 자세하게 하는 것이 [도구]-[테이블생성] 에서 확인

  테이블이 복잡한 경우에는 여기서 테이블을 확인한 후에 적용하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확인은 DB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서 확인하면 된다.

 

  그리고 보통 어플리케이션의 용량은 10메가 전후로 보아야 한다.

  너무 크면 무거워 잘 돌아가지 않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196건 49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10
어제
302
최대
1,347
전체
155,171
Latest Crypto Fear & Greed Index

그누보드5
Copyright © 서방님.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