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를 지성, 중성, 건성으로 나누는 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136회 작성일 07-10-16 20:33본문
피부에는 지성과 중성, 건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런 차이가 생기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피부를 지성, 중성, 건성으로 나누는 구분은 피지선(皮脂腺)이 분비하는 피지의 양에 따른 것입니다. 피지선은 신체의 모발의 뿌리가 되는 모낭의 옆에 있는 짧은 배설관입니다. 여기에서 만들어진 피지의 일부는 모낭 내에 있는 모발을 통해 올라와서 털의 둘레를 쌉니다. 일부는 모낭벽을 따라서 피부 표면에 퍼지며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동시에 수분을 보호합니다. 신체 전체에 분포하는 피지선의 개수는 약 30만개이며, 이들 피지선이 하루에 분비하는 피지의 양은 약 2g입니다.
한편 피부에는 피지선 이외에도 땀샘이 분포해 수분을 분비합니다. 피부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피부는 각질층에 10-20%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건성피부는 피지가 분비되지 않아서 수분의 함유량이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피부에 윤기가 없고 건조해서 각질이나 잔주름이 생기기 쉬운 피부 상태를 말합니다.
중성피부는 피부의 모든 기능이 정상적이기 때문에 피지와 수분이 적당해 피부가 촉촉하고 윤기와 탄력이 있습니다. 또한 피부의 모공이 눈에 띄지 않고, 잡티 나 뾰루지 등이 없는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상태입니다.
지성피부는 피부에 피지 분비량이 많기 때문에 피부가 번들거려 피부표면에 먼지 등 더러운 것이 잘 묻습니다. 피부가 오염되기 쉽고 피부의 호흡작용에 방해가 일어나 여드름, 뾰루지가 생기기 쉬운 피부 상태입니다. 여드름은 피지가 과도하게 쌓여서 모공에서 뭉친 것을 말합니다.
진피에는 피지선이 있고 사춘기가 되면 안드로겐이 분비되기는 마찬가지인데, 사람마다 기름기가 만들어지는 정도에 차이가 나서 지성.중성.건성으로 나뉩니다. 그러면 그런 차이는 왜 생기는 것일까요?
피지선의 수는 신체 부위에 따라 차이는 나지만 개인차는 없습니다. 즉, 누구나 비슷한 수의 피지선을 갖고 있습니다. 다만 피지선이 안드로겐에 얼마나 예민하게 반응하는가 하는 민감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 민감도는 타고나는 것입니다. 지성 피부를 타고난 사람은 안드로겐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피지선에서 기름기(피지)를 많이 만들어내고, 건성 피부를 타고난 사람은 반대로 기름기를 잘 만들지 못합니다.
아래 피부 타입을 측정할 수 있는 4가지 항목을 보시고 그 항목 중에 가장 많이 해당하는 번호의 타입이 님의 피부타입입니다. 평소 느끼시는 그대로를 체크해 보세요.
참고로 99% 정확도가 있는 피부측정 테스트 설문 문항임을 말씀드립니다.
1. 건성
① 모공이 대체적으로 크지 않은 편이다.
② 볼과 눈, 입 주위가 건조하고 잔주름이 있다.
③ 피부톤이 전체적으로 밝으면서 고른 편이다.
④ 모공이 대체적으로 작아 피부결은 고와 보이지만 윤기는 없다.
⑤ 세안 후 얼굴이 전체적으로 당긴다.
2. 중성
① 겨울철엔 당기고, 여름철엔 피지분비가 늘어나는 등 계절에 따라 피부 상태가 변하기도 한다.
② 가끔씩 피부 트러블이 생기는데, 특히 환절기에 많이 발생한다.
③ 세안 후에는 눈 주위나 볼 부위가 약간 당긴다.
④ 같은 연령대에 비교해 피부결이 섬세하고 고운편이다.
⑤ 한 번 화장하면 잘 지워지지 않고 오래가는 편이다.
3. 복합성
① 특히, T존 부위(이마, 코, 턱)에 화장이 잘 지워진다.
② 뾰로지나 여드름 같은 피부 트러블이 가끔 발생하거나 코 주변에 블랙헤드가 많은 편이다.
③ 세안 후, 볼 부위는 당김을 느껴지기도 하지만 T존 부위는 피지 분비가 많은 편이다.
④ 피부에 윤기가 적고 피부 색이 전체적으로 칙칙해 보인다.
⑤ 부분적으로 번들거리고 당기는 부위도 있다.
4. 지성
① 피부톤이 전체적으로 어둡고 피부 두께가 두껍게 느껴진다.
② 전반적으로 모공이 큰 편이다.
③ 여드름이나 뾰로지 같은 피부 트러블이 자주 발생한다.
④ 화장을 하면 잘 지워진다.
⑤ 얼굴 전체적으로 번들거림이 나타난다.
자, 체크해 보셨나요??
그런데, 가장 많은 항목의 개수가 두 곳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 개인의 느낌대로 체크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약간은 애매모호하다하는 부분도 있을 수 있구요.
피부 타입은 크게는 위의 4가지 경우로 나눠지지만 더 세밀하게 구분지어 예를 들자면, 위의 항목 체크 결과가 건성과 중성의 개수가 똑같이 많이 나왔다면 중건성 피부라고 보시면 되고, 복합성과 지성의 개수가 똑같이 많이 나왔다면 지복합성 피부라고 보시면 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