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수? 개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1건 조회 296회 작성일 07-01-22 09:42본문
'갯수'가 아니라 '개수'가 맞습니다. 현행 맞춤법에서 한자어만으로 된 합성어 사이에는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6단어를 제외하고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습니다.
한글맞춤법 30항을 보면 사이시옷에 대한 규정을 밝혀 놓았는데, 첫째 조건은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ㄴ'소리가 덧나는 경우에 적는다는 것이죠.
둘째 조건은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ㄴ'소리가 덧나는 경우에 적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나 순우리말과 한자어가 결합한 합성어는 아무런 차이 없이 조건만 맞으면 사이시옷을 적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사이시옷이 쓰이기 위해서는 합성어의 어느 한쪽은 순우리말이어야 한다고 봐도 됩니다.
셋째 조건이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 대한 것인데, 원칙적으로 한자어 합성어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습니다. 다만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6단어만은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적고 있습니다. 따라서 '갯수'가 아니라 '개수'가 맞고, '촛점'이 아니라 '초점'이 맞습니다. 위의 6단어를 기억해 두면 틀릴 염려가 없습니다.
개수
개수 (個數·箇數) [―쑤] [명사] 낱으로 셀 때의 물건의 수. ¶트럭에 실은 짐의 개수 .
<한글맞춤법>
제 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난 예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예)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2] 뒷말의 첫소리 'ㄴ, ㄹ'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것
예)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 도리깻열, 두렛일, 뒷일, 베갯잇, 나뭇잎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난 예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예) 귓병, 머릿방, 전셋집, 아랫방, 횟가루
[2] 뒷말의 첫소리 'ㄴ,ㅁ'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예)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