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ebook(페이스북) 덧글 플러그인 설치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116회 작성일 17-10-24 14:58본문
출처 : http://tistoryadlab.tistory.com/39
페이스북 SDK를 설치했습니다. 혹시 SDK 설치하지 못했다면 해당 링크로 들어가서 웹SDK를 설치하세요. 이제 플러그인 설치를 하겠습니다. 오늘 설치할 플러그인은 덧글(Comments) 플러그인 입니다.
덧글 플러그인은 위 모양처럼 각 페이지에 블로그나 사이트 덧글 대신 페이스북 아이디로 덧글을 쓸 수 있게 붙이는 것을 말합니다.
페이스북 덧글 플로그인 설치 가이드
일단 플러그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왼쪽 메뉴에서 Comments를 누르세요.
그럼 위 모양의 폼이 보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위의 두 부분만 정확하게 입력하면 됩니다. 어떤 분들은 코드를 얻고 나중에 고친다고 하던데 왜 귀찮게 하나요? 입력할 때 정확하게 입력하고 코드만 넣으면 되는데 -_-;;
- URL to comment on : http://티스토리주소.tistory.com[샵샵_article_rep_link_샵샵]
- Width: 픽셀이나 100%를 입력
위 목록처럼 입력해야 합니다.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는 당연히 들어가고 그 뒤에 [샵샵_article_rep_link_샵샵] 가 붙습니다. 이 치환자는 티스토리의 글 주소를 붙여주는 치환자입니다. 티스토리에서 알아서 글 주소를 넣어줍니다. 생각해보세요. 글마다 다르게 나와야 할 덧글이 모든 글에 동일하게 붙는다면 어떻겠습니까?
여기서 샵은 #표시를 말합니다. 샵샵이라는 글자 대신 ##를 넣어주세요.
Width에 픽셀을 넣는 경우는 고정형 스킨을 쓰는 경우입니다. 본인의 본문 폭을 알아서 계산해서 넣어주세요. 저는 반응형 스킨이기 때문에 100%라고 입력하면 되겠죠?
Get Code를 누르세요. 혹시 하단에 있던 데모가 사라졌어도 상관 없습니다.
위 스샷처럼 화면에 출력되면 SDK 때 만들었던 앱ID라고 나오는 부분을 해당 사이트에 맞게 확인하고 하단의 코드 중 두 번째 코드만 복사합니다.
본인의 티스토리 관리자 모드의 HTML/CSS 편집 섹션으로 들어와서 본인이 원하는 본문 하단에 넣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s_tag_label>mark> 는 분문 하단에 보이는 태그 치환자를 나타냅니다. 즉 본문 하단 태그가 끝나는 부분에 넣는다면 위 코드 위치에 넣어주세요. 다 입력했다면 저장을 누르고 본인의 블로그 페이지 하단을 들어가 보세요.
플러그인 설치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여기서 끝나면 댓글 관리를 할 수 없습니다.
<meta property="fb:admins" content="본인의 appId"/>
본인의 홈페이지나 블로그의 <head> 태그 안에 위 코드를 넣어주세요.
appID는 본인의 개발자 페이지 대쉬보드에 들어가면 나옵니다. 아니면 이미 전 포스팅에서 설치했던 부분의 코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head> 안에 해당 meta 태그를 넣고 반나절이 지나면(죄송합니다. 시간을 정확히 모르겠어요 -_-) 댓글 플러그인 부분에 Moderation Tool이라고 문구가 보이게 됩니다.
클릭해보세요. 그럼 각 포스트 페이지에 해당하는 댓글 관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위 스크린샷 박스친 부분을 누르면 전체 댓글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관리자 페이지에 오늘 댓글 플러그인의 트래픽이 얼마나 있었는지 나오며 덧글을 안보이게 설정도 가능합니다. 참고로 해당 meta 태그를 입력하고 시간이 조금 있어야 나타나더군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