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자료 이전방법 > php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php

홈페이지 자료 이전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74회 작성일 12-06-14 13:11

본문

우선 자료를 이전하기 위해서는 홈페이지가 있는 서버로 접속하셔야 합니다. 홈페이지 구성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등의 자료를 이전하기 위해 먼저 백업(backup)을 할 것입니다.


1. telnet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사용자 도메인이 test.co.kr 이고 ftp 아이디가 tester일때를 가정하겠습니다. 자료가 담겨 있는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view_file.php?type=faq&no=1394&fileno=4983

① telnet이라는 서버접속 프로그램 명령어를 이용하여 고객님의 자료가 있는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입니다.
 
view_file.php?type=faq&no=1394&fileno=4984

① 고객님의 FTP 계정을 넣어 주시면 됩니다
② 고객님의 FTP계정의 패스워드를 넣어주십시오. (패스워드는 표기 되지 않습니다.)
③ 접속이 정상적으로 되었을 때 접속시간과 해당 서버의 IP가 표기 됩니다.
④ 접속이 정상적으로 되었을 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위와 같이 접속을 하셨다면 고객님의 자료가 담겨 있는 공간에 접속이 
된 것입니다.



2. 데이터베이스 및 자료를 백업(backup)하는 방법
이제부터 backup 파일을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를 한번에 이전하기 전에 아직 파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베이스 파일들을 압축하도록 하겠습니다.
db를 먼저 압축하는 이유는 db를 압축하여 파일로 형성 후 db를 포함한 전체 내용을 한번에 압축하여 옮기기 위함입니다.

- backup이란? :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자료들의 복사본을 생성해놓는 것을 뜻합니다.
- 압축이란? : 여러 파일들을 보다 적은 기억 공간에 대입해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입니다. 주로 backup할 때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view_file.php?type=faq&no=1394&fileno=4985

①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testdb.sql의 하나의 파일로 압축하는 명령입니다.
② 해당 데이터 베이스의 패스워드를 넣어주시면 됩니다.(패스워드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위와 같이 mysqldump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테이터베이스 내용을 압축하였습니다.
위의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u 뒤에 "tester"는 db사용자명을 지정하는 것이며 –p 뒤에 "testdb"는 db명을 뜻합니다.
그리고 "> testdb.sql"이란 testdb.sql이라는 파일명으로 백업을 하라는 명령입니다.
데이터 베이스의 유저명 또는 db명 ,db패스워드를 모르실 경우 고객님께서 기존에 호스팅 서비스를 받고 계시던 업체에 문의 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은 명령을 사용하셨다면 생성하신 testdb.sql 파일이 정상적으로 생성이 되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을 확인 할때에는 ls 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도스(Dos)상의 dir과 같은 명령어이며 해당 디렉토리 안의 파일들을 나열하여 화면상에 보여지게 됩니다.

view_file.php?type=faq&no=1394&fileno=4986

① 위의 명령어로 생성된 테이터베이스 압축파일입니다.
위의 화면 내용처럼 testdb.sql로 압축이 되어 파일이 생성되어 있을것입니다.
자료를 정상적으로 이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웹 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파일들을 하나의 파일로 압축을 하셔야 합니다.
(꼭 압축을 하셔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자료 이전시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압축을 하기 위해서 tar 명령어를 사용하면 되고, 이를 이용하여 고객님의 자료를 전송하기 편하도록 하나의 파일로 압축을
할 것입니다. tar 명령어의 옵션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압축을 할 수도 있고 압축된 파일을 여러 파일로 풀어 낼 수도 있습니다.

압축을 하기 전에 앞서 자료를 하나의 압축파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여유 공간이 확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객님께서 사용중인 ftp용량과 사용 가능하신 용량을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용량이 100M인데 90M를 사용 중 이시라면 여유공간인 10M공간에 90M자료를 압축하기란 불가능 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사용중인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du 명령어를 사용하겠습니다.
(옵션 –h를 넣었을 경우 용량을 확인하기 쉽게 단위로 보여지게 됩니다.)
또는 마이 페이지에서는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view_file.php?type=faq&no=1394&fileno=4987

① du 명령어를 사용시 –h 옵션을 주어 보기 쉽도록 표기하였으며 ./는 현재 디렉토리 안의 모든 내용 전체를 뜻합니다.
② 해당 디렉토리 안의 전체 사용용량이 2M라는 걸 알수 있습니다. 여유공간이 없을 경우 불필요한 자료들은 삭제하여 여유
공간을 확보하셔야 합니다.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면 FTP접속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일하나하나 일일이 다운받거나 옮겨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작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우선 고객님의 자료를 하나의 파일로 압축하는 과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view_file.php?type=faq&no=1394&fileno=4988

위는 tar압축 명령어를 사용하여 –cvf 압축옵션을 주어 backup.tar 파일로 ./ 현재 디렉토리에 * 전체내용을 압축하는
명령입니다. 위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셨다면 backup.tar이라는 파일이 생성되어 있을 것입니다.
해당파일 안에는 미리 파일로 변형해놓은 데이터 베이스 파일 및 모든 자료가 담겨져 있기에 backup.tar 파일만 있으면 현재
자료들을 언제든 복원 할 수 있게 되겠습니다.



3. FTP를 이용한 파일전송 방법
지금까지 자료를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였습니다.
지금 생성된 backup.tar 파일을 고객님PC로 옮기거나 혹은 새로 이전하시는 서버로 이전할 차례입니다.
고객님 PC에 자료를 가져 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명령어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한 접속 방법 및 사용법은 글마지막에 링크를 해 놓겠습니다.
새로 이전하실 서버상에 FTP 계정과 패스워드가 존재한다면 고객님PC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옮길수도 있습니다.
새로 이전하실 서버에 도메인또는 IP를 이용하여 접속해 보겠습니다.
 
view_file.php?type=faq&no=1394&fileno=4989

① ftp 명령어를 이용하여 해당서버(test.com)에 접속을 시도합니다.
( 도메인이 이직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test.com대신 IP주소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② 해당서버의 FTP계정을 기입해주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접속이 되셨다면 자료를 옮겨 보도록 하겠습니다.
 ftp 명령으로 파일을 전송하기 전에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1). 파일 형식에 따라 아키텍처 또는 바이너리 방식으로 전송해야 하는데 위와 같은 파일은 바이너리로 전송을 해야 정상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bin 이라는 명령을 넣어주셔야 합니다.
2). 파일이 전송이 되고 있는지 상황을 보기 위해서는 hash 라는 명령어를 입력해 놓으셔야 전송되고 있는 내용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view_file.php?type=faq&no=1394&fileno=4990

① Binary 형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입니다. 파일형식에 따라 전송해야 할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② 파일이 정상적으로 전송되고 있는지 표시되게 됩니다.
(필수 사항은 아닙니다. 단지 전송되고 있는 상황을 보기 위한 명령입니다.)
③ put 명령은 해당서버에서 접속한 서버로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put명령에 의해 backup.tar 파일을 전송하게 됩니다.
④ 파일 전송을 마치고 ftp 접속을 종료하는 명령입니다. (접속을 종료하면 Goodbye라는 문구가 나옵니다.)



4. 전송된 파일을 설치 하는 방법
지금부터는 전송된 내용을 이전할 서버에 다시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압축되어 있는 파일의 압축을 풀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view_file.php?type=faq&no=1394&fileno=4991

① tar 명령어에 -x옵션을 주면 압축을 풀고 –v옵션을 주면 진행사항을 보여주고, -f 옵션을 주어 파일명을 지정합니다.
옵션 뒤에는 압축된 파일을 지정해 줍니다.
위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이전하기 전 서버에서 압축하였던 내용을, 압축하기 전 당시의 형태대로 생성을 하게 됩니다.
다음으로는 데이터 베이스 파일을 적용시켜 보겠습니다.

view_file.php?type=faq&no=1394&fileno=4993

위의 내용은 mysql 명령어를 이용하여 mysqldb에 testdb.sql 내용을 적용시키는 내용이며 기존 db 접속 정보와 새로 설치된 db 정보와 동일하게 수정을 하셔야 합니다.
즉, db 접속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을 찾아서 새로 설정된 db 접속 정보를 변경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include 안에 dbconn.inc 이란 파일을 사용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이 수정하시면 됩니다.
예) $dbconn = mysql_connect("localhost", "db_user명", "db_암호") $status = mysql_select_db("db명"); 이로써 자료
이전은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5. 확인
위에서 언급된 방법으로 데이타가 이전된 후에 홈페이지가 잘 뜨는지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네임서버 변경 전에는 별도의 주소로 접속이 가능하오니 설치 완료메일을 참고하여 웹에서 홈페이지가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예) http://211.47.66.96/~FTP계정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12건 33 페이지
php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32 서방님 93 07-18
131 서방님 188 07-18
130 서방님 185 07-18
129 서방님 126 07-18
128 서방님 122 07-17
127 서방님 63 07-17
126 서방님 0 07-10
125 서방님 70 07-03
124 서방님 70 06-22
123 서방님 99 06-14
열람중 서방님 75 06-14
121 서방님 108 06-13
120 서방님 0 06-05
119 서방님 116 05-31
118 서방님 65 05-15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6
어제
302
최대
1,347
전체
155,077
Latest Crypto Fear & Greed Index

그누보드5
Copyright © 서방님.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