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도메인, 서브도메인 설정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126회 작성일 15-04-03 16:04본문
서브 도메인 : 다음과 같은 형태 -> http://www.zetplay.com/zetswing
2차 도메인 : 다음과 같은 형태 -> http://zetswing.zetplay.com
※ 2차 도메인 명에는 '_' 또는 '-' 들어가면 제대로 사이트접속이 안된다.
개념
보통 리눅스에는 원도우와 다르게 퍼미션이라는개념으로 접근금지 접근허용의 개념을
잘알아야 웹서비스를 할수있습니다.
아파치는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웹서버입니다. 아파치의 httpd.conf에는 DocumentRoot
에는 웹서비스의 루트디렉토리를 지정할수있습니다.
보통 403 에러는 해당 폴더의 퍼미션의 other부분이 1이 아니라서 생기게 됩니다.
최소한 1이여야 하며 5(r,x)를 두어도 되지만 그렇게 되면 404 에러(해당 페이지를 찾을수 없다.)에러를 만나게 될경우 파일리스트가 노출되어 다운이 되어도 html으로 되지만 보안상 좋지 않습니다. 대신 httpd.conf에서 340~350 줄사이에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부분에서 Indexes를 없애주면 파일리스트가 보이지 않는다. 위와같이 Indexes를 없애줘야하는 변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아파치의 루트디렉토리인 htdocs를 701로 주면 읽기가 안되므로 실행만 되어 휠씬 편하게 시작할수있다.
어차피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부분을 조절하면 폴더를 705로 주어도 파일리스트를
볼수없다. 그냥 처음부터 701로 하느게 좋다.
리눅스에서는 서브도메인으로 ~(틸드)를 이용한다.(daum.net/~xx)
사용자계정을 만들게 되면 /home/계정명 이생기며 httpd.conf안에
#
# UserDir: The name of the directory that is appended onto a user's home
# directory if a ~user request is received.
#
UserDir public_html
위의 UserDir가 주석처리 되어있다면 풀어야 한다. /home/계정명안에 public_html을
만든후 public_html안에 웹페이지를 생성하면 된다. 접속시에는 http://해당페이지주소/~계정명/
하지만 이때도 퍼미션에 대해서 설정을 제대로 해줘야 웹페이지에서 열린다. 웹에서접속은
nobody라는 리눅스계정으로 접속한다. 먼저 /home/계정명이 보통 700으로 생성된다.
이것을 701로 설정한다 최소한 실행은 가능하게 한다. 안하게 되면 403에러가 발생하여 제어
할수없다고 나온다. 다음 public_html역시 701이나 705를 준다 705는 읽기가 가능하여 웬만하면
701로 준다. 서브웹페이지같은경우는 x(실행)는 상관없이 704만주면 된다. other은 read만
가능하게 주면 된다. 안에 폴더도 처음 폴더와 마찬가지로 701만주면 제어가 가능하다.
폴더는 최소 701이면 되며 파일은 704면 된다. 퍼미션을 정책에 맞게 주면 준다.
**************************************************************************************
*해당폴더안에 웹페이지를 생성하거나 폴더를 생성시에는 현재폴더의 other가 7이 되어야한다.*
파일업로드폴더는 other가 7이다 (read가능,write가능,exec가능)
exec가능-폴더접근
write가능-파일생성,폴더생성
*************************************************************************************
UserDir public_html옵션을 이용해서 서브도메인 폴더 바꾸기
보통 서브도메인은 public_html폴더를 만듭니다. 하지만 이폴더를 httpd.conf에서 수정가능합니다.
UserDir public_html 이부분을 찾아서 public_html부분을 수정하시고 아파치를 재가동합니다.
리눅스에서는 2차도메인 사용하기(xx.daum.net)
1.아파치의 rewrite모듈사용하기
2.virtualhost사용하기
리눅스설치시 httpd.conf설정하기
1)ServerName 에 현재 도메인으로 설정한다.
2)AddDefaultCharset 에 euc_kr로 수정해야 한글이 안깨지고 잘된다.
3)ErrorDocument에 에러메시지당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설정한다.
# ErrorDocument 400 /error/HTTP_BAD_REQUEST.html.var
# ErrorDocument 401 /error/HTTP_UNAUTHORIZED.html.var
# ErrorDocument 403 /error/HTTP_FORBIDDEN.html.var
# ErrorDocument 403 http://192.168.0.2/~lee/index.php
# ErrorDocument 405 /error/HTTP_METHOD_NOT_ALLOWED.html.var
# ErrorDocument 408 /error/HTTP_REQUEST_TIME_OUT.html.var
# ErrorDocument 410 /error/HTTP_GONE.html.var
# ErrorDocumenr 411 /error/HTTP_LENGTH_REQUIRED.html.var
# ErrorDocument 412 /error/HTTP_PRECONDITION_FAILED.html.var
# ErrorDocument 413 /error/HTTP_REQUEST_ENTITY_TOO_LARGE.html.var
으로 바꾼다.
# ErrorDocument 400 /error/HTTP_BAD_REQUEST.html.var
# ErrorDocument 401 /error/HTTP_UNAUTHORIZED.html.var
ErrorDocument 403 http://192.168.0.2/404.php or /404.php(사용시 htdocs가 root로 기준)
ErrorDocument 404 http://192.168.0.2/404.php or /404.php
# ErrorDocument 405 /error/HTTP_METHOD_NOT_ALLOWED.html.var
# ErrorDocument 408 /error/HTTP_REQUEST_TIME_OUT.html.var
# ErrorDocument 410 /error/HTTP_GONE.html.var
※ ErrorDocument 404에서 지정시 절대경로만 됩니다.
(이것을 바꾸면 루트웹서비스뿐아니라 가상호스트에게 모두 적용된다.)
가상호스트별 에러도큐먼트이동하기
<VirtualHost xxx.xxx.xxx.xxx>
ServerAdmin test@test.com
DocumentRoot /home/test/public_html
ServerName test.com
ServerAlias www.test.com
ErrorDocument 404 http://test.com/errordoc/404.html
</VirtualHos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