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서버에 2개 이상의 도메인 설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방님 댓글 0건 조회 177회 작성일 13-01-08 17:12본문
출처 : http://blog.jidolstar.com/76
목표
내가 새로 구입한 도메인은 starchart.kr, starry.kr, scorpius.kr 이다.
이 3개의 도메인을 일단 http://www.도메인명, http://도메인명 으로 접속 했을 때 apache에서 설정한 VirtualHost로 나오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전 네임서버 설정
네임서버를 설정할때 named.conf와 .zone만 설정한다고 네임서버 설정을 다했다고 할 수 없다. 제대로 할려면 /etc/resolv.conf 와 /etc/hosts, /etc/sysconfig/network 설정도 같이 해주어야 한다.
resolv.conf는 1차 네임서버로 등록한 네임서버의 정보를 입력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네임서버 설정 파일이다.
/etc/resolv.conf
nameserver ***.***.***.***
nameserver ***.***.***.***
nameserver xxx.xxx.xxx.xxx
hosts 파일에 네임서버의 정보(host명과 domain 주소)를 추가한다. hosts는 간단한 네임서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주 쓰는 도메인에 대한 알리아스를 지정할 수 있다. 만약 http://www.jidolstar.com 웹사이트 접속이 빈번할 경우, 간단히 /etc/hosts 파일에 xxx.xxx.xxx.xxx kr.jidolstar.com www 를 등록함으로써 www만으로 jidolstar.com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etc/hosts
# Do not remove the following line, or various programs
# that require network functionality will fail.
127.0.0.1 JidolStar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xxx.xxx.xxx.xxx ns.jidolstar.com ns
network에 HOSTNAME과 DOMAINNAME을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yes
HOSTNAME=JidolStar
DOMAINNAME=jidolstar.com
GATEWAY=222.122.29.1
GATEWAYDEV=eth0
저장후 /etc/init.d/network restart 나 service network restart를 해준다.hosts에 네임 서버의 정보(호스트명과 도메인 주소)를 추가한다.
named.conf에 forward zone 파일과 reverse zone 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다. forword zone은 도메인네임을 IP주소로 해석하기 위한 것이고 reverse zone은 반대로 IP주소를 도메인네임으로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가령 "nslookup xxx.xxx.xxx.xxx" 는 reverse zone을 이용하는 것이고 "nslookup jidolstar.com" 은 forward zone을 이용하는 것이다.
특별히 reverse zone 파일은 구지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이유는 네트워크 주소와 도메인을 공급하는 업체에게 일반적으로 도메인네임을 위탁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데 정확한 이유는 나도 잘 모른다. ㅡㅡ;
/var/named/chroot/etc/named.conf
/* user level configuration */
zone "jidolstar.com" IN {
type master;
file "jidolstar.com.zone";
allow-update{ none; };
};zone "xxx.xxx.xxx.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jidolstar.com.rev";
allow-update { none; };
};
named.conf에 zone 을 설정후 해당 zone을 아래와 같이 만든다.
/var/named/chroot/zone/jidolstar.com.zone
$TTL 86400
@ IN SOA ns.jidolstar.com. admin.jidolstar.com. (
2007032201 ; Serial
10800 ; Refresh
3600 ; Retry
432000 ; Expire
86500 ; Minimum
)
IN NS ns.jidolstar.com.
IN MX 10 mail.jidolstar.com.
IN TXT "v=spf1 mx ip4:222.122.29.143 ~all"IN A xxx.xxx.xxx.xxx
ns IN A xxx.xxx.xxx.xxx
mail IN A xxx.xxx.xxx.xxx
* IN A xxx.xxx.xxx.xxxwww IN CNAME @
143 IN PTR jidolstar.com.
/var/named/chroot/zone/jidolstar.com.zone
$TTL 86400
@ IN SOA ns.jidolstar.com. admin.jidolstar.com. (
2007032201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Minimum
)
IN NS ns.jidolstar.com.
IN A xxx.xxx.xxx.xxx
ns IN A xxx.xxx.xxx.xxx143 IN PTR jidolstar.com.
네임서버 설정을 모두 마친뒤 /etc/init.d/named restart 또는 service named restart를 수행하여 네임 서버를 다시 구동한다.
네임서버 설정
1. 구입한 도메인의 네임서버 수정
구입한 3개의 도메인을 내가 구축한 네임서버에 등록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구입한 도메인등록사이트에서 네임서버를 변경해주어야 한다. 나의 네임서버는 HOST : ns.jidostar.com, IP : xxx.xxx.xxx.xxx 이므로 처음 구입할때 제공하는 네임서버를 바꿔준다.
2. named.conf 에 zone 등록
아래와 같이 named.conf 파일에 아래와 같이 3개의 도메인에 대한 zone을 등록한다. 각 도메인마다 새로운 zone을 만들어도 되지만 네임서버는 ns.jidolstar.com 하나만 쓸 것이므로 default.zone을 하나 만들어 사용할 것이다.
/var/named/chroot/etc/named.conf
/* 2007.05.18 추가 */
zone "starry.kr" IN {
type master;
file "default.zone";
allow-update{ none; };
};/* 2007.05.18 추가 */
zone "scorpius.kr" IN {
type master;
file "default.zone";
allow-update{ none; };
};/* 2007.05.18 추가 */
zone "starchart.kr" IN {
type master;
file "default.zone";
allow-update{ none; };
};
아래는 named.conf에서 3개의 도메인을 등록할 때 설정한 default.zone을 구성한 모습이다. 기존에 만들었던 jidolstar.com.zone을 복사해서 맨 마지막 줄만 지운 것이다.
/var/named/chroot/zone/default.zone
$TTL 86400
@ IN SOA ns.jidolstar.com. admin.jidolstar.com. (
2007051802 ; Serial
10800 ; Refresh
3600 ; Retry
432000 ; Expire
86500 ; Minimum
)
IN NS ns.jidolstar.com.
IN MX 10 mail.jidolstar.com.
IN TXT "v=spf1 mx ip4:222.122.29.143 ~all"IN A xxx.xxx.xxx.xxx
ns IN A xxx.xxx.xxx.xxx
mail IN A xxx.xxx.xxx.xxx
* IN A xxx.xxx.xxx.xxxwww IN CNAME @
3. 네임서버 재시작
네임서버 설정을 모두 마친뒤 /etc/init.d/named restart 또는 service named restart를 수행하여 네임 서버를 다시 구동한다.
4. 네임 서버 설정 오류 체크
네임서버를 구축하고 문제점을 체크하는 명령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nslookup 이다.
이 것을 nslookup 도메인명, nslookup IP 를 이용해 네임서버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제대로 동작한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nslookup starry.com
Server : ***.***.***.***
Address : ***.***.***.***#53
Name : starry.com
Address : xxx.xxx.xxx.xxx
웹서버 설정
등록한 도메인으로 접속했을때 해당 웹페이지 보여주기 위해 아래와 같이 httpd 설정을 한다. 여기선 virtual.conf를 설정하지만 안녕리눅스만 그러고 다른 리눅스에서는 httpd.conf를 수정하면 된다.
/etc/httpd/conf/conf.d/virtual.conf
# starry.kr
# 자동 www 붙이기 : http://blog.daum.net/keh3524/8531267
<VirtualHost *>
ServerAdmin webmaster@jidolstar.com
DocumentRoot /home/...../www
ServerName starry.kr
#ServerAlias starry.kr *.starry.kr
RedirectMatch /(.*)$ http://www.starry.kr/$1
ErrorLog logs/starry.kr-error_log
CustomLog logs/starry.kr-access_log common
</VirtualHost><VirtualHost *>
ServerAdmin webmaster@jidolstar.com
DocumentRoot /home/...../www
ServerName www.starry.kr
#ServerAlias starry.kr *.starry.kr
ErrorLog logs/starry.kr-error_log
CustomLog logs/starry.kr-access_log common
</VirtualHost># scorpius.kr
<VirtualHost *>
ServerAdmin webmaster@jidolstar.com
DocumentRoot /home/...../www
ServerName scorpius.kr
ServerAlias scorpius.kr *.scorpius.kr
ErrorLog logs/scorpius.kr-error_log
CustomLog logs/scorpius.kr-access_log common
</VirtualHost># starchart.kr
<VirtualHost *>
ServerAdmin webmaster@jidolstar.com
DocumentRoot /home/...../www
ServerName starchart.kr
ServerAlias starchart.kr *.starchart.kr
ErrorLog logs/starchart.kr-error_log
CustomLog logs/starchart.kr-access_log common
</VirtualHost>
ServerAlias를 *.도메인 명식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부분에 어떤 명칭이 들어와서 /home/..(생략부분).../www가 DocumentRoot가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